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겨울철 동상 및 동창 예방요령 질병정보 알아보기

by bloggermin 2024. 3. 25.

안녕하세요, 건강정보파인더입니다.

오늘은  겨울철 동상 및 동창 예방요령 질병정보에 대해 자세히 배워보도록 하겠습니다.

 겨울철 동상 및 동창 예방요령 질병정보

겨울철 동상 및 동창 예방요령 질병정보

 

 

 겨울철 동상 및 동창 예방요령 질병정보 알아보기

 겨울철 동상 및 동창 예방요령 질병정보 알아보기

 

겨울철 동상 및 동창 예방을 위한 필독 가이드

동상과 동창의 이해

동상은 추운 환경에 신체 일부가 노출되어 발생하는 증상으로, 주로 코, 귀, 뺨, 턱, 손가락, 발가락 등에 영향을 미칩니다. 초기에는 가렵고 차가운 느낌이 들지만 심해지면 통증과 함께 피부가 빨개지고 부풀어 오릅니다. 극심한 경우에는 피부가 파랗거나 검게 변해 괴사될 수 있으며, 절단 수술이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반면 동창은 영하의 온도에서 혈관 손상으로 인한 염증으로, 피부가 얼지는 않지만 손상 부위에 세균이 감염될 경우 궤양이 생길 수 있습니다. 영하의 온도에서도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동상 및 동창을 악화시키는 요인

 꽉 끼는 신발 착용: 발의 혈액 순환이 저하되어 동상 위험이 높아집니다.
 과도한 양말 착용: 신발 내부의 습도가 증가하여 동상 위험이 증가합니다.
 장시간 서 있거나 움직임이 적은 상태: 하지 울혈로 인해 동창이나 동상이 악화될 수 있습니다.

예방 요령

 땀 배출이 잘 되고 적당한 두께의 양말을 착용하고, 편안한 신발을 신습니다.
 신발이 젖으면 즉시 발을 빼서 말립니다.
 추운 곳에서는 자주 몸을 움직여 혈액 순환을 원활하게 합니다.
 어린이의 경우 얇지만 보온성이 우수하고 땀 배출이 잘 되는 양말을 신도록 합니다.
 동상이 의심되면 즉시 병원을 방문합니다.

응급 조치 요령 (병원 방문이 어려울 경우)

 따뜻한 방으로 이동하고, 동상 부위를 절대 걷거나 디디지 않습니다.
 팔꿈치를 담가도 불편하지 않은 정도의 따뜻한 물에 동상 부위를 담급니다.
 겨드랑이에 동상 부위를 넣어 체온으로 따뜻하게 합니다.
 동상 부위를 눈으로 문지르거나 비비지 않습니다.
 열패드, 램프, 난로열로 보온하지 않습니다.

위험군

 혈액 순환 장애가 있는 경우
 적절한 보온 의복을 착용하지 않은 경우
 장시간 서 있거나 움직임이 적은 경우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