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건강정보파인더입니다.
오늘은 각막혼탁 및 반흔 치료에 대해 자세히 배워보도록 하겠습니다.
각막혼탁 및 반흔 치료
각막혼탁 및 반흔 치료 알아보기
각막혼탁 및 반흔 치료 알아보기
각막혼탁 치료
1. 급성기 치료
1) 원인 질환의 치료
각막혼탁을 유발할 수 있는 원인 질환에 대한 치료가 우선되어야 합니다. 각막염이나 각막궤양이 진행되거나 만성화되면 정상 조직의 파괴가 심해지고, 치료 후 정상 조직으로의 재생 가능성이 떨어져 각막혼탁과 반흔의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따라서 급성기에는 각막혼탁을 유발할 수 있는 원인 질환의 치료가 가장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세균 감염에 의한 각막궤양의 경우 원인균에 맞는 항생제를 사용하여 각막궤양의 진행을 예방하는 것이 가장 우선되어야 합니다. 또한 항생제 치료와 동시에 또는 항생제 치료 후에 각막의 혼탁을 예방하거나 경감할 수 있는 치료법이 시행되어야 합니다.
2) 각막혼탁과 각막 반흔을 줄이기 위한 치료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나 스테로이드제제는 염증 세포의 침윤과 증식을 줄이고, 염증 매개 물질의 분비를 감소시키며, 신생혈관의 생성을 억제함으로써 각막혼탁의 발생과 진행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자가혈청 안약은 자신의 피를 채취하여 희석하여 안약으로 사용하는데, 혈청에 풍부한 성장인자나 항염증 물질을 활용하여 각막혼탁을 줄일 수 있습니다. 또한 양막이식을 시행할 수도 있습니다. 양막에는 세포성장인자와 세포의 분열 및 이동을 촉진하고, 단백질 분해를 억제할 수 있는 물질이 많이 존재하여 각막혼탁을 예방 및 경감할 수 있습니다.
2. 고정된 각막혼탁과 반흔의 치료
시축을 포함하지 않는 고정된 각막혼탁과 반흔은 불규칙난시를 유발하지 않거나 시력 저하가 없으면 치료가 필요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경우에 따라서는 수년에 걸쳐 각막혼탁이 감소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러나 빛이 들어가는 중심부를 가리는 각막혼탁과 반흔은 심각한 시력 저하를 동반하므로 혼탁이 있는 부위를 투명한 각막으로 대체할 수 있는 각막이식이 시행되어야 합니다.
각막이식은 혼탁이 있는 중심부 각막을 절제해 내고, 사망자가 기증한 안구 중 투명한 각막을 이식하는 수술입니다. 이식 거부 반응, 각막이식 실패, 많은 양의 난시 유발, 원인 질환의 재발 등 많은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으나, 고정된 각막혼탁과 반흔을 제거하고 시력을 회복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입니다. 최근에는 합병증을 줄이고 필요한 부분의 각막만을 이식하는 부분층각막이식이 다양하게 시행되고 있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