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결핵 환자들이 자주하는질문

by bloggermin 2023. 3. 17.

안녕하세요, 건강정보파인더입니다.

오늘은  결핵 환자들이 자주하는질문에 대해 자세히 배워보도록 하겠습니다.

 결핵 환자들이 자주하는질문

결핵 환자들이 자주하는질문

 

 

 

1. 결핵은 무슨 병인가요.

결핵의 원인은 무엇인가요.결핵 tuberculos is TB은 결핵균 Mycobacteriumtuberculos is이라는 세균에 의해서 발생하는 전염병입니다. 결핵균은 다른 세균들과는 달리 자연계에서는 살 수 없고 사람의 몸속에서만 살 수 있기 때문에 결핵환자만 결핵균을 전염시킬 수 있습니다.


결핵환자가 기침할 때 공기 중으로 배출된 결핵균은 일시적으로 공기 중에 떠 있는데 주위 사람들이 그 공기로 숨을 쉴 때 폐로 들어가 전염이 일어나므로 결핵을 공기 매개성 airborne 전염병이 고 부릅니다. 결핵은 대부분 폐에서 생기고 폐경 핵 환자가 결핵균을 전염시키므로 폐결핵을 결핵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그렇지만 결핵은 우리 몸 어디서나 발생할 수 있어 서 림프절에서 발생하면 림프절 결핵 척추에서 발생하면 척추 결핵이라고 부릅니다. 이와 같이 폐 이외의 장기에서 발생한 결핵을 폐와 결 핵肺外結核이라고 부릅니다.

 

2.결핵균과 항 성 균 抗酸菌은 같은 균인 가요.

 

비결해 항산 균은 결핵균과 다른 가요. 폐결핵은 전염병이므로 폐경 해 환자와 가까이 지냈던 사람들이 결핵균에 감염될 위험성이 큽니다. 접촉자 검진이란 전염성 결핵환자가 발생하였을 때 결핵환자와 가까이 지냈던 사람들을 대상으로 결핵균에 감염되었는지 그리고 결핵이 있는지 알아보는 검진입니다.


결핵환자의 전염성이 크고 가까이 지낸 정도와 기간이 길면 결핵균에 감염될 위험성이 더 증가하므로 결핵환자의 가족과 같이 결핵감염의 위험성이 큰 사람들을 대상으로 접촉자 검진을 시행합니다.


폐결핵 환자의 전염성은 결핵으로 진단받고 결핵 약을 복용하기 직전이 가장 높으므로 폐결핵을 조기에 진단하여 치료함으로써 결핵균의 전파를 차단하기 위하여 정부는 결핵환자와 가까이 지낸 가족과 동거인들에 대해 무료로 접촉자 검진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폐결핵 초기에는 기침 가래 같은 증상이 없을 수 있으므로 아무런 증상이 없더라도 결핵환자와 가까이 지낸 가족이라면 접촉자 검진을 받아보는 것이 안전합니다.


3.결핵 감염이란 무엇인가요.

결핵환자의 가족인데 결핵균에 감염되지 않을 수도 있나요. 결핵균의 전염 transmission은 결핵환자가 기침할 때 공기 중으로 배출되는 결핵균을 주위 사람이 숨을 들이마실 때 기도를 통하여 폐로 들어가면서 발생합니다. 폐로 들어온 결핵균은 1차 방어기 전인 선천면역 innateimmu nity에 의해서 제거되거나 선천면역을 극복하고 폐 속에서 증식할 수 있습니다.
결핵균이 선천면역을 극복하고 증식하면 강력한 이차 방어기 전인 세포 매개성 면역반응 cellmediatedimmu nity 이 발생하여 결핵균을 억제하게 됩니다.


결핵균에 대한 세포 매개성 면역반응이 발생할 때 형성된 면역세포는 평생 동안 혈액 속에 남아있기 때문에 이를 확인함으로써 결핵감염 검사 결핵감염 여부를 진단할 수 있습니다.


결핵균이 폐로 들어오더라도 선천면역에 의해 결핵균이 제거되었을 경우 결핵감염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결핵균이 폐로 들어오지 않은 경우와 폐로 들어왔더라도 선천면역에 의해 결핵균이 제거되었을 경우 모두 결핵감염 검사 음성을 보입니다.


그러므로 결핵환자와 가까이 지내더라도 결핵감염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으며 결핵감염 검사 음성 결핵환자의 가족 중에서 절반 정도에서만 결핵감염 검사에서 양성을 보입니다.


4.결핵감염 검사란 무엇이고 트베르 콜린 PPD 검사는 왜 하나요. 혈액검사로 감염 여부를 알 수 있나요.

폐결핵으로 진단되면 전담 간호사는 환자분의 가족 및 동거인 수만큼 접촉자 검진 수첩을 드립니다. 수첩에는 결핵 및 잠복결핵감염 검사에 대한 쿠폰이 있기 때문에 가까운 의료기관에 내원하면 해당 검사를 무료로 받을 수 있습니다.


결핵검사는 접촉자가 결핵환자인지 알아보는 검사로 모든 접촉자 검진 대상자에 대해서 흉부방사선 촬영을 하고 기침 가래와 같은 증상이 있거나 방사선 사진에서 결핵이 의심되면 추가로 객담 결핵균 검사를 시행할 수도 있습니다.


결핵감염 검진은 접촉자가 결핵균에 감염되었는지 알아보는 검사로 트베르 콜린 검사와 혈액검사 인터페론감마 분비 검사 2가지 방법이 있는데 트베르 콜린 검사가 표준검사입니다.

 

5.결핵균에 감염되면 모두 결핵이 발생하지 않나요.

결핵감염과 결핵은 어떻게 다르고 잠복결핵감염이란 어떤 것인가요. 결핵균이 폐로 들어와서 1차 방어기 전인 선천면역을 극복하고 증식하면 2차 방어기 전인 세포 매개성 면역반응이 발생하여 결핵균을 제거합니다.


대부분의 경우 세포 매개성 면역반응에 의해 결핵균들이 살균되거나 증식하지 못하도록 억제되지만 일부에서는 결핵균이 면역기전을 극복하고 지속적으로 증식하여 병이 발생하는데 이를 결핵이라고 합니다.

 

결핵균에 대한 세포 매개성 면역반응에 의해 결핵균이 억제되어 있다가도 여러 가지로 면역기전이 약해지는 상황이 발생하면 억제되었던 결핵균이 다시 증식을 시작하여 결핵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보통 사람의 경우 결핵감염이 발생하면 결핵감염 검사에서 양성 10% 정도에서 평생에 걸쳐 한 번 정도 결핵이 발생할 확률이 있는데 결핵감염 후 2년 이내에 5% 정도 발생하고 그 이후 평생에 걸쳐 5% 정도 발생합니다.


그러므로 결핵에 감염된 사람의 90%는 평생 동안 결핵에 한 번도 안 걸리고 지내게 됩니다. 결핵감염 검사 양성이지만 현재 결핵이 없는 상태를 잠복결핵 latenttuberculos is infection이라고 하며 결핵균이 억제되어 있어 증식하지 않고 있지만 결핵이 발생할 위험성이 조금 있다는 의미입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