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건강정보파인더입니다.
오늘은 구강건조증(치과) 진단에 대해 자세히 배워보도록 하겠습니다.
구강건조증(치과) 진단
구강건조증(치과) 진단 알아보기
구강건조증(치과) 진단 알아보기
구강 건조증 진단 방법
구강 건조증 의심 시 자가 진단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구강 건조감 자주 느끼는지
물이나 기타 음료 없이 말하기 어려운지
식사 중 음식 삼키기 어려운지
입술이나 혀에 건조감이나 갈증 느끼는지
입 안에 상처나 혀에 갈라짐이 있는지
밤새 자면서 입으로 호흡하는지
아침에 입안이 마른지
자주 물을 마시는지
타액이 거품이 많거나 끈적이는지
자가 진단 이외에도 타액 분비량을 직접 측정할 수 있습니다. 편안한 상태에서 10분 동안 분비되는 타액 양을 차 숟가락으로 측정해 보세요. 타액이 한 숟가락보다 적으면 타액 분비량이 부족할 수 있습니다. 또한 깨끗한 고무줄을 5분간 씹어 분비되는 타액을 스푼에 모으세요. 성인 식사용 스푼 한 숟가락 정도가 되어야 합니다. 타액 분비량이 부족하고 앞서 언급한 불편감이 자주 나타나면 구강 건조증을 의심하고 치과 병원을 방문하세요. 타액 분비량 측정 시 최소 2시간 전부터 음식(물 제외)을 섭취하지 않도록 주의하세요.
치과 병원에서는 구강 검사, 방사선 사진 촬영을 통해 충치, 치주염, 구강 점막, 혀 상태를 확인합니다. 또한 정확한 방법으로 타액 분비량을 측정합니다. 타액 분비량이 현저히 감소한 경우 타액선 기능 상태를 평가하기 위해 타액선 스캔 검사 또는 타액선 조영술과 같은 정밀 촬영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여성 환자로 구강 건조증과 함께 안구 건조증이 심한 경우 혈액 검사와 아랫입술 생검을 권장받을 수 있습니다. 이는 쇼그렌 증후군과 같은 류마티스 질환 가능성을 조사하기 위한 것으로, 필요 시 류마티스 내과나 안과 검진이 필요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