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건강정보파인더입니다.
오늘은 궤양성대장염(궤양성 결장염) 개요에 대해 자세히 배워보도록 하겠습니다.
궤양성대장염(궤양성 결장염) 개요
궤양성대장염(궤양성 결장염) 개요 알아보기
궤양성대장염(궤양성 결장염) 개요 알아보기
궤양성 đại장염은 대장의 점막이나 점막 하층에 염증 또는 궤양이 생기는 만성적인 질환으로, 정확한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주요 증상으로는 혈변이 나고 설사가 되는 것이며, 배변 급박감, 변을 본 후에도 변이 남은 것 같은 느낌, 복통 등이 있습니다. 궤양성 대장염은 유전적, 환경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생기며, 전 세계적으로 분포하지만 북미와 북유럽에서 가장 많이 발생합니다.
궤양성 대장염의 병변은 항문 쪽의 직장에서 시작하여 점차 위쪽으로 퍼지는 특징이 있으며, 병변이 점점이 생기는 것이 아니라 모두 연결되어 있습니다. 거의 모든 궤양성 대장염 환자에서 직장에 염증이 생기며, 약 절반은 직장에서 S자 결장까지, 1/4은 직장에서 S자 결장과 내림결장 왼쪽까지, 나머지 1/4은 직장에서 횡행결장이나 오름결장 오른쪽까지 염증이 퍼집니다.
서구의 통계에 따르면, 궤양성 대장염의 발병률은 10만 명당 68명, 유병률은 10만 명당 70~150명이며, 남녀 비율은 비슷합니다. 젊은층(15~35세)에서 많이 발생하며, 유대인과 백인에서 발병률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최근, 우리나라와 일본 등 동양에서도 궤양성 대장염의 발병률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식생활을 포함한 생활 습관의 서구화와 진단 기술의 발달 때문인 것으로 생각됩니다.
우리나라에서는 1970년대에 궤양성 대장염 환자가 보고되기 시작했으며, 발병률과 유병률이 서구에 비해 낮았지만 최근 빠르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국내의 궤양성 대장염 유병률은 10만 명당 약 30.87명으로 추산되며, 발병 연령은 서구와 마찬가지로 젊은층이 많습니다. 20대에서 40대에 가장 많이 발생하며, 남녀 비율은 1:1.1~1.3으로 여성이 약간 더 많습니다.
국내 궤양성 대장염 환자 중 약 1.6~2.0%가 가족력이 있으며, 이는 서구에 비해 낮습니다. 그러나 궤양성 대장염 환자의 1차 친족에서 궤양성 대장염이 발생할 위험도는 일반인에 비해 14.2배 높으며, 이는 서구와 비슷한 수치입니다.
한국인의 궤양성 대장염 관련 대장암의 추산 누적 발생률은 0.5%로, 서구의 발생률에 비해 매우 낮습니다. 그러나 이는 아직 우리나라에서 궤양성 대장염의 발병률이 최고점에 도달하지 않았고, 또한 궤양성 대장염 환자에서 대장암이 진단되는 것이 지연되기 때문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현재 궤양성 대장염의 발병률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일반인의 평균 수명이 증가하는 것을 고려하면 향후 궤양성 대장염 환자의 수가 추산보다 훨씬 많아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