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건강정보파인더입니다.
오늘은 당뇨병에 대해 자세히 배워보도록 하겠습니다.
당뇨병
당뇨병 알아보기
당뇨병 알아보기
당뇨병, 지속적인 증가 추세로 인한 심각한 건강 문제
전 세계적으로 당뇨병의 발병률과 유병률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당뇨병 환자는 전 세계적으로 약 1억 명으로 추산되며, 미국에서는 전체 인구의 약 6%가 당뇨병을 앓고 있는 것으로 추산됩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전체 인구의 평균 약 58%, 30세 이상 성인 인구의 약 10%가 당뇨병을 앓고 있는 것으로 추산되며, 내당능장애도 약 10%에 달하는 것으로 추산됩니다.
급격한 경제성장, 서구화된 생활 방식, 신체 활동 감소, 과도한 스트레스, 평균 수명 연장 등의 변화가 국내 당뇨병 발생 급증의 주요 원인으로 추정됩니다.
당뇨병은 췌장의 인슐린 분비 장애와 인슐린 작용의 결함으로 인해 혈당이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질환으로, 이로 인해 탄수화물 대사 장애와 단백질 및 지질 대사 장애가 발생합니다. 이러한 결과로 지속적인 고혈당과 갈증, 다뇨, 다식, 체중 감소, 의식 장애, 혼수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눈, 신장, 심혈관, 신경 장애 등의 급성 또는 만성 합병증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췌장은 소화관 옆에 위치한 기관으로 소화 효소를 생성하는 동시에 혈당 조절에 필수적인 인슐린과 같은 생체 호르몬을 생성합니다.
당뇨병은 일단 발병하면 현재로서는 완치될 수 있는 방법이 없지만, 다양한 방법을 통한 철저한 혈당 조절은 당뇨병 합병증의 발생을 억제하거나 지연시킬 수 있으므로 적극적인 혈당 조절이 강조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당뇨병으로 진단된 경우 당뇨병 합병증의 발병 여부, 진행 상황, 동반된 대사 질환 여부를 파악한 후 식사 요법, 운동 요법, 당뇨병 관리 계획을 수립하고 실천해야 하며, 식사 요법과 운동 요법만으로는 철저한 혈당 조절이 어려운 경우에는 적절한 약물 요법이 필요합니다.
혈당 조절의 중요성은 전 세계적으로 공인되고 있으며, 혈당 조절 정도를 반영하는 당화혈색소, 공복혈당, 식전혈당, 식후혈당 등에 대한 목표치 지침이 마련되어 임상에서 유용하게 활용되고 있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