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비타민 D 저항성 구루병 원인 증상 진단 치료

by bloggermin 2023. 6. 6.

안녕하세요, 건강정보파인더입니다.

오늘은 비타민 D 저항성 구루병에 대해 자세히 배워보도록 하겠습니다.

비타민 D 저항성 구루병

비타민 D 저항성 구루병(Vitamin D resistant rickets)

개요

비타민 D 저항성 구루병은 비타민 D의 치료에 내성을 갖는 구루병의 일종으로, 저인산염혈증 구루병(Hypophosphatemic rickets)이라고도 합니다. 혈중 인산의 결핍이 있으며, 혈중 칼슘 농도는 정상이므로 이차적인 부갑상선 항진증은 없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전반적인 유골(osteoid)의 석회화 부전으로 인해 성장 저하와 골 기형을 나타나며, 방사선적으로는 전형적인 구루병성 변화를 보이게 되는 질환입니다.

원인

비타민 D 저항성 구루병은 X 염색체에 존재하는 PHEX (Phosphateregulating gene with Homologies to Endopeptidases on the X chromosome) 유전자의 돌연변이에 의하여 발생합니다. 신장에서 인산의 재흡수를 못하는 것이 주원인이며, 간혹 부갑상선 기능항진증이 나타나나 이는 저 인산혈증에 대하여 이차적으로 유발된 것으로 생각됩니다. 골 모세포는 정상적으로 골 형성을 하지 못하며, 특히 골세포 주위의 무기질이 침착하지 못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다른 저인산성 구루병과 달리 2년 이상의 치료로도 새로 형성되는 혈액내 인산 농도의 조정과절

증상

비타민 D 치료에 잘 반응하지 않는 구루병에는 다음과 같은 네가지 유형이 있습니다. 첫째가 신장에서 인산을 선택적으로 흡수하는 데 장애로 저인산혈증을 동반하는 비타민 D 저항성 구루병 (저인산염혈증 구루병)이며, 이것이 가장 흔한 형태에 해당합니다. 둘째는 표적기관이 비타민 D에 반응하지 않는 형으로 제 2형 비타민 D의존성 구루병으로 불립니다. 셋째는 신장에서 비타민 D를 활성화하는 과정의 선천적 결함이 있는 형으로 제 1형 비타민 D의존성 구루병으로 불립니다. 넷째는 신 세뇨관성 산증이 있으며, 이것들은 상대적으로 매우 드뭅니다. 저인산염혈증 구루병의 남자 환자에게 나타나는 전형적인 증상은 저인산혈증, 하지 변형, 성장률 저하입니다. 저인산혈증은 출생 후 확인되지만 골격의 변형은 걷기 시작하면서 나타납니다.

진단

이 질환은 임상 증상 및 방사선 소견과 혈액검사 수치로 진단하게 됩니다. 정상 평균보다 2 표준편차 이상 작은 신장, 하지의 변형이 있고, 방사선 소견상 골간단의 확장, 컵모양 변형 및 불규칙한 가장자리 형태를 보이며, 혈중 무기인산의 농도가 매우 낮고, 상대적으로 소변으로 인산뇨증이 있는 경우 저인산염혈증 구루병을 진단 할 수 있습니다. 이때 소변에서 아미노산이나 당은 배출되지 않는 것이 특징입니다. PHEX 유전자 및 FGF23 유전자의 분석이 확진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치료

고용량의 무기 인(Joulies solution)을 보충, 대량의 비타민 D를 병합하여 사용, 성장 호르몬을 투여, 대퇴골 전외측 만곡과 경골 내반증에 대해서 교정 절골술이 치료방법으로 사용됩니다.

결론

비타민 D 저항성 구루병은 혈액 내 인산 농도의 결핍으로 인한 구루병으로, 다른 구루병과 달리 비타민 D 치료에 내성을 갖습니다. 이를 치료하기 위해서는 고용량의 무기 인과 대량의 비타민 D 병합 사용, 성장 호르몬 투여, 절골술 등이 사용됩니다.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임상 증상, 방사선 소견, 혈액 검사 수치, PHEX 유전자 및 FGF23 유전자의 분석 등이 사용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