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건강정보파인더입니다.
오늘은 선천성 거대요관(Congenital megaureter)에 대해 자세히 배워보도록 하겠습니다.
선천성 거대요관(Congenital megaureter)
선천성 거대요관(Congenital megaureter) 알아보기
선천성 거대요관(Congenital megaureter) 알아보기
거대요관
I. 개요
거대요관은 신우와 신배의 확장 여부와 관계없이 요관의 구조적 확장이 있는 상태로, 종종 다른 선천적 기형과 함께 나타납니다. 정상적인 요관 직경은 일반적으로 5mm 이내이며, 7mm 이상인 경우 거대요관으로 진단합니다. 원인에 따라 원발성(선천성) 또는 이차성으로 나눌 수 있으며, 역류 또는 폐색의 유무에 따라 세분화됩니다.
II. 증상
발열성 요로감염
복통
현미경적 혈뇨
III. 원인
원발성(선천성): 특발성
이차성:
방광 하부 폐색
신경인성 방광
다뇨증
감염
IV. 진단
초음파: 신실질, 신우, 신배, 방광의 세부 구조, 확장 정도를 평가
배뇨중 방광요도조영술: 역류 유무 확인
비디오요역동학검사: 방광 또는 요도의 기능적 이상 진단
경정맥 신우조영술: 폐색 위치, 수신증 및 요관 확장 정도 평가
V. 치료
원발성(선천성) 거대요관
보존적 치료: 증상이 없는 경우 자연적 호전 가능성 있음
수술적 치료:
증상 유발 시 (발열성 요로감염, 결석, 복통)
신기능 악화 소견 있을 때
방법: 방광요관재문합술
참고문헌
거대요관의 진단 및 치료에 대한 새로운 접근 - 연세의대 비뇨기과학교실 임영재, 한상원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