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건강정보파인더입니다.
오늘은 시린이 정의에 대해 자세히 배워보도록 하겠습니다.
시린이 정의
시린이 정의 알아보기
시린이 정의 알아보기
시린이, 흔히 치아가 시린다고 표현되는 증상은 다양한 원인에서 기인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찬물이나 바람에 이가 시리면 치과에 내원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러한 증상은 과도한 칫솔질, 불량한 구강 위생, 치주 치료, 수복 치료, 산성 음식 섭취, 과도한 교합력, 충치, 치아 균열 등 여러 가지 요인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치아의 구조를 살펴보면 치아는 법랑질, 상아질, 백악질, 치수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변의 잇몸뼈(치조골)와 잇몸(치은)이 치아의 뿌리 부분과 접촉하여 치아를 고정시킵니다.
법랑질은 치아의 가장 바깥쪽 부분을 둘러싸고 있으며 치아의 내부 조직을 보호합니다. 도자기와 유사한 성질을 지닌 단단하고 치밀한 무기질로 구성되어 있지만 과도한 힘을 받으면 깨질 수 있습니다. 법랑질의 두께는 다양하며, 씹는 면이 가장 두껍고 뿌리, 잇몸 쪽으로 갈수록 얇아집니다. 잇몸과의 경계부분(치경부)이 가장 취약한 부분입니다.
치아의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상아질은 법랑질에 의해 보호받고 있으며, 뿌리 부분은 백악질로 덮여 잇몸뼈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노란색을 띠고 있으며, 수분과 유기질의 비율이 높아 법랑질에 비해 무른 조직입니다. 상아질의 구조는 작은 관들의 집합체로 생각할 수 있습니다. 치수에서부터 법랑질까지 이어지는 작은 관(상아세관)이 존재하는데, 이 관의 내부는 액체로 차 있으며 치수쪽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고 밀집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구조적 특징 때문에 법랑질과 달리 상아질은 매우 투과성이 높고, 외부의 자극(온도, 압력 등)을 내부의 치수 신경으로 빠르게 전달할 수 있습니다.
치수는 치아를 지배하는 신경, 혈관, 기타 세포들이 존재하는 공간으로, 외부 자극에 대해 적극적으로 대처하는 살아있는 조직입니다. 법랑질, 상아질 자체에는 신경이 없지만 우리가 아이스크림을 먹고 이가 시리다고 느끼는 것은 찬 온도 자극이 상아질을 거쳐 치수 내부의 신경까지 전달되었기 때문입니다. 치아 뿌리 끝을 통해 적절한 혈류 공급과 배출이 이루어지는 건강한 치아의 경우, 치수는 외부의 자극에 대한 통증을 줄이기 위해 어느 정도의 방어 기전을 갖추고 있습니다.
백악질은 뿌리를 덮고 있는 조직으로 치주인대를 통해 치아와 잇몸뼈를 연결하고 있습니다. 백악질은 치경부에서 법랑질과 경계를 형성하는데, 약 10%의 치아에서 백악질과 법랑질이 만나지 않아 상아질이 그대로 드러나 민감한 부위로 남게 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