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시스타티오닌뇨증(Cystathionuria) 개요 증상 원인 진단 치료

by bloggermin 2023. 6. 6.

안녕하세요, 건강정보파인더입니다.

오늘은 시스타티오닌뇨증(Cystathionuria)에 대해 자세히 배워보도록 하겠습니다.

시스타티오닌뇨증(Cystathionuria)

시스타티오닌뇨증(Cystathionuria)

개요

시스타티오닌뇨증은 드문 대사질환으로 효소 결핍에 의해 생기는 질환입니다. 결핍 효소는 cystathionine gammalyase(또는 cystathionase)로서 이 효소는 메티오닌(methionine)을 시스테인(cysteine)으로 변환시키는 작용을 합니다. 이 질환은 1959년에 해리스에 의해 처음으로 보고되었으며, 1983년도에 47명의 환자 케이스를 모아 대사기전 및 임상 양상에 대해 간략하게 보고하였습니다. 일반적으로 이 질환이 있는 환자는 무증상입니다.

증상

대부분이 무증상이지만, 간이 작아지고 섬유화가 진행되기도 합니다. 소변이나 혈중에서 시스타티오닌(cystathione)의 농도가 증가하며, 뇌척수액에서도 증가할 수 있습니다. 일부에서는 지능장애를 동반할 수 있다는 보고가 있습니다.

원인

cystathionine gammalyase 유전자인 CTH의 변이에 의해 생깁니다. 혈액 및 소변 내 시스타티오닌 증가의 원인으로는 조산아, 비타민 B6 결핍증, 비타민 B12 결핍증, 엽산(folic acid) 결핍증, 시스타티오닌을 분비하는 종양, 콩팥에서 시스타티오닌의 이송 능력이 저하된 경우에도 이러한 유사증상이 생길 수 있습니다. 하지만 보통 유전자의 돌연변이에 의해 cystathionine gammalyase라는 효소의 활성도가 감소하면 혈액이나 소변 내 더 높은 농도의 시스타티오닌 증가가 발생합니다. 시스타티오닌 감마라이에이즈의 결핍이 있을 시 시스타티오닌의 농도는 올라갑니다. 시스타티오닌의 전구체는 호모시스테인(homocysteine)과 세린(serine)이며, 시스타티오닌은 형성된 후, 다시 알파케토부티레이트(α-ketobutyrate)와 시스테인으로 변환됩니다.

진단

혈중이나 소변의 시스타티오닌 증가가 있을 시에 진단에 도움이 되며, CTH 유전자의 돌연변이 등을 유전자 분석(genestudy)을 통하여 찾아낼 수 있습니다. 다른 원인에 의해 혈중이나 소변의 시스타티오닌이 증가된 경우가 있으며, 다음과 같은 원인이 있을 수 있으니 감별을 요합니다.

 

[혈중 및 요중 시스타티오닌 증가의 원인]

  • 조산아
  • 비타민 B6 결핍증
  • 비타민 B12 결핍증
  • folic acid 결핍증
  • 시스타티오닌을 분비하는 종양
  • 콩팥에서 시스타티오닌의 이송 능력이 저하된 경우

치료

메티오닌 섭취를 금하고 시스테인을 복용시키면 도움이 됩니다. 비타민 B6를 일반 섭취량의 100~500배를 섭취하는 것이 일부 환자에선 도움이 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