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건강정보파인더입니다.
오늘은 신장염(사구체 신염) 막성 사구체 신염에 대해 자세히 배워보도록 하겠습니다.
신장염(사구체 신염) 막성 사구체 신염
신장염(사구체 신염) 막성 사구체 신염 알아보기
신장염(사구체 신염) 막성 사구체 신염 알아보기
막성 사구체 신염(MGN)은 신장증후군의 한 종류로, 성인 신장증후군의 약 35%를 차지하는 주요 질환입니다. 원인은 대부분 알려져 있지 않지만, 암(폐암, 장암), 감염(간염, 말라리아), 약물(페니실아민), 전신 홍반 루푸스와 관련이 있습니다.
MGN의 특징은 사구체 세포의 기저막이 두꺼워지고, 세포 증식이 없다는 것입니다. 면역염색을 하면 미세과립상의 IgG 침착이 관찰됩니다.
MGN 환자의 약 1/3은 질환이 지속되고, 1/3은 호전되며, 나머지 1/3은 말기 신부전으로 진행합니다. 어떤 유형에서든 사구체 신염이 진행하면 사구체와 분리된 신세뇨관에 위축이나 유리화 소견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MGN 환자의 신장은 육안적으로 울퉁불퉁한 모양을 띠며, 질환이 진행된 경우에는 스테로이드 치료를 시도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