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심내막염 분류 알아보기

by bloggermin 2024. 7. 23.

안녕하세요, 건강정보파인더입니다.

오늘은  심내막염 분류에 대해 자세히 배워보도록 하겠습니다.

 심내막염 분류

심내막염 분류

 

 

 심내막염 분류 알아보기

 심내막염 분류 알아보기

 

심내막염은 감염 유형에 따라 3가지로 분류됩니다.

심내막염은 심장 내막(심장 내벽)에 농양성 염증이 생기는 질환으로, 기저 심장 질환의 유형에 따라 원인균과 임상 경과가 다릅니다. 분류 방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자연 판막 심내막염

자연 판막 심내막염은 판막 수술을 받지 않은 사람에게서 발생하는 심내막염입니다. 주로 판막 질환이나 선천성 심장 기형 등의 기저 심장 질환이 있는 환자에게서 발생합니다. 이 경우 주된 원인균은 사슬상 구균, 장구균, 포도상 구균입니다.

2. 자연 판막 마약 중독자 심내막염

자연 판막 마약 중독자 심내막염도 판막 수술을 받지 않은 사람에게서 발생하는 심내막염이지만, 마약 중독과 같은 약물 오남용이 원인이 되는 경우입니다. 마약 중독자는 정맥 주사를 자주 사용하는데, 이때 피부에 있는 포도상 구균이 심장으로 들어가 심내막염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3. 인공 판막 심내막염

인공 판막 심내막염은 인공 판막 치환술을 받은 사람에게서 발생하는 심내막염입니다. 인공 판막 수술 후 2개월 이내에 발생하는 경우를 조기 발생 심내막염이라고 하며, 2개월 이후에 발생하는 경우를 후기 발생 심내막염이라고 합니다. 인공 판막 심내막염의 가장 흔한 원인균은 포도상 구균이며, 그 외에도 그람 음성 간균, 진균(곰팡이) 등이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경우 인공 판막을 부착한 부위에 염증이 생깁니다. 인공 판막 심내막염은 치료가 잘 되지 않으면 인공 판막의 기능에 이상이 생겨 급속히 악화될 수 있으며, 세 가지 심내막염 유형 중 가장 심각한 경과를 보입니다.

출처: 국립보건의료원 국가건강정보포털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