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건강정보파인더입니다.
오늘은 얼굴신경마비 환자들이 자주하는질문에 대해 자세히 배워보도록 하겠습니다.
얼굴신경마비 환자들이 자주하는질문
1. 얼굴신경마비와 구안와사는 서로 다른 병인가요?
구안와사는 입 구(口), 눈 안(眼), 입 비뚤어질 와(蝸), 기울 사(斜)로 이루어진 한자로서 눈과 입이 비뚤어져 있다는 뜻의 병명입니다. 신경과 의사들은 얼굴신경마비, 벨마비 등의 병명을 주로 사용하며, 한의사들은 구안와사, 와사풍 등의 병명을 주로 사용합니다.
2. 얼굴신경마비도 뇌졸중의 일종인가요?
얼굴신경마비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벨마비는 말초성 급성 편측 얼굴신경마비로, 뇌 자체의 병변인 뇌졸중 또는 중풍과는 전혀 다른 질환입니다. 그러나 얼굴마비가 발생하였을 경우, 반드시 뇌졸중의 가능성을 확인해야 하기 때문에 신경과 의사의 진찰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3. 얼굴마비가 있을 때 어느 경우에 뇌졸중을 의심해야 하나요?
급성 편측성 얼굴마비가 있으면서 이마에 주름을 잡을 수 있고 눈 감기가 자유로운 경우는 뇌졸중을 의심해야 합니다. 또한, 얼굴마비 이외에 팔, 다리의 마비나 감각이상, 음식물 삼키기가 어려울 경우, 어지러움증, 사물이 두 개로 보일 경우, 중심을 잡기 어려운 경우 등이 동반되어 있으면 뇌졸중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4. 찬바람을 맞거나 찬 곳에서 자고 나면 벨마비가 생기나요?
그렇지 않습니다. 아직 벨마비의 원인은 확실하지 않으며, 단지 단순 헤르페스 바이러스 1형과 관계가 있을 가능성에 대하여만 알려져 있을 뿐입니다. 찬바람을 맞으면 얼굴신경마비가 발생한다는 과학적인 근거는 아직까지 없는 상태입니다.
5. 얼굴마비가 있으면, 반드시 뇌 MRI를 촬영해야 하나요?
그렇지 않습니다. 의사의 진료를 받고 증상, 진찰소견이 벨마비에 합당하다는 판단이 있으면 뇌 MRI가 필요하지는 않습니다. 그러나 증상이 완전히 벨마비에 합당하지 않거나 치료 후에도 호전이 전혀 없을 경우, 벨마비 증상 이외에 다른 동반 증상이 있는 경우에는 다른 질환이 원인일 가능성을 확인해 볼 필요가 있으므로 뇌 MRI를 시행해야 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