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자궁내막암 개요 알아보기

by bloggermin 2024. 7. 26.

안녕하세요, 건강정보파인더입니다.

오늘은  자궁내막암 개요에 대해 자세히 배워보도록 하겠습니다.

 자궁내막암 개요

자궁내막암 개요

 

 

 자궁내막암 개요 알아보기

 자궁내막암 개요 알아보기

 

1. 자궁내막암의 발생부위
1) 자궁의 위치 및 구조

자궁(uterus)은 서양배 모양의 근육 기관으로 진골반에 위치하며, 자궁의 앞쪽에는 방광, 뒤쪽에는 직장이 있습니다. 자궁의 크기는 임신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하 길이가 약 7cm, 좌우가 약 4cm의 계란 크기 정도이며, 자궁벽의 두께는 약 2cm이고 평활근으로 되어 있습니다.

자궁의 상부 2/3을 자궁체부(몸통), 하부 1/3을 자궁경부(목)이라고 합니다. 자궁은 여러 골반 장기들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데, 자궁을 세로로 절개해 보면 가장 바깥쪽에 자궁장막이라는 얇은 막이 있고, 그 안쪽에 평활근으로 이루어진 두꺼운 자궁근층이 있으며, 다음에 그것과 이어진 형태로 자궁내막이라는 부드러운 조직이 있습니다. 자궁의 근육층은 태아의 발육에 따라 서서히 발달하는데, 임신 중에는 각각 수십 배의 크기가 되고 강력한 장력에 견디며, 분만이 끝나면 원래의 크기로 되돌아갑니다.

자궁체부는 태아의 착상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자궁 내측 벽의 자궁내막, 자궁의 수축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자궁근층, 자궁 전체를 감싸고 있는 장막으로 나누어 볼 수 있습니다. 이 중 자궁내막은 생리 주기에 따라 증식과 위축을 반복하게 되며, 여러 호르몬의 영향에 민감하게 반응합니다.

2) 자궁의 기능

자궁은 임신을 유지하고 출산을 가능하게 하는 기능을 합니다. 자궁 안에서 수정된 난자가 착상하여 40주 동안 이곳에서 영양분과 산소를 공급받으며 자라게 되고, 40주가 되면 자궁근육의 수축작용에 의해 태아를 출산하게 됩니다.

2. 자궁내막암의 정의 및 종류
1) 자궁내막암의 정의

자궁내막암은 자궁체부 중 내벽을 구성하는 자궁내막에서 생기는 암을 말하며, 자궁체부암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자궁의 근육층에서도 자궁평활근육종이라고 하는 암이 발생할 수는 있으나, 그 빈도는 전체 자궁체부암의 3% 정도 됩니다.

2) 자궁내막암의 종류

자궁내막암은 조직학적 특성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됩니다.

- 자궁내막양 선암
- 유두상 장액성 암종
- 투명세포암종
- 점액암종
- 편평상피암종
- 혼합암종
- 미분화암종

3. 자궁내막암의 관련 통계
2011년에 발표된 중앙암등록본부 자료에 의하면 2009년에 우리나라에서는 연 192,561건의 암이 발생되었는데, 그 중 자궁내막암은 연 1,619건으로 전체 암 발생의 0.84%, 여성암 발생의 1.73%를 차지했습니다. 연령대별로는 50대가 38.4%로 가장 많고, 40대가 25.2%, 60대가 17.9% 순입니다.

(출처: 국가건강정보포털)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