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지질검사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

by bloggermin 2023. 5. 3.

안녕하세요, 건강정보파인더입니다.

오늘은  지질검사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에 대해 자세히 배워보도록 하겠습니다.

 지질검사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

지질검사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

 

 

 지질검사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 알아보기

 지질검사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 알아보기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
혈청 내 콜레스테롤의 많은 부분이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로 존재합니다.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은 초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의 콜레스테롤 풍부 잔유물입니다.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은 반감기
 가 34일로 오래 존재하며, 관상동맥 질환의 위험도를 측정하는 데 사용합니다. 
1. 정상치 및 관상동맥 심질환 위험치

2. 검사 과정

초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의 양은 중성지방/5입니다. 
저밀도 지단백 이외의 지질단백만을 선택적으로 억제하여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직접법이 개발되어 이용되고 있습니다. 

3. 검사 후 처치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이 높을 때는 28주 사이에 반복 검사하고 평균값으로 기본치를 설정합니다. 
치료 기준이 되는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LDL) 기준치는 다음과 같습니다. 


4. 관상동맥질환의 주요 위험 인자
1) 양성 위험 인자

나이 : 남자 45세 이상, 여자 55세 이상 
조기 관상동맥질환의 가족력: 직계 남자 가족 중 55세 이전, 직계 여자 가족 중 65세 이전에 조기 관상동맥질환의 가족력 
흡연 
고혈압(≥140/90 mmHg 또는 항고혈압 약물 치료 중) 
낮은 고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40mg/dL 미만) 

2) 음성 위험 인자
높은 고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60 mg/dL) 
초고위험인자 >> 저밀도 콜레스테롤 목표치는 70mg/dL 이하로 권유합니다.
1) 다수의 위험인자(예, 당뇨병)가 있는 경우
2) 거의 조절되지 않는 심한 수준의 위험인자가 있는 경우(예, 계속되는 흡연)
3) 대사증후군의 위험인자가 다수 있는 경우
4) 급성관동맥증후군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