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건강정보파인더입니다.
오늘은 풍진 바이러스(Rubella virus)에 대해 자세히 배워보도록 하겠습니다.
풍진 바이러스(Rubella virus)
풍진 바이러스(Rubella virus) 알아보기
풍진 바이러스(Rubella virus) 알아보기
홍역 바이러스(Rubella virus) 감염에 의한 급성 발열성 질환
[홍역 바이러스(Rubella virus) 감염에 의한 급성 발열성 질환]
신고 범위: 환자(선천성 풍진 증후군 포함), 의사 환자(선천성 풍진 증후군 포함)
신고 시기: 지체 없이 신고
신고를 위한 진단 기준
환자
① 선천성 풍진: 선천성 풍진에 부합하는 임상적 특징을 나타내면서, 다음 검사 방법 등에 의해 해당 병원체 감염이 확인된 자
- 검체(호흡기 검체, 뇌척수액, 혈액, 소변 등)에서 바이러스 분리 또는 특이 유전자 검출
- 특이 IgM 항체 검출
- 예방 접종에 의한 항체 상승이 배제되고 풍진 특이 항체 가가 모체 항체 가보다 높거나 모체 항체 가가 소실되는 시기 이후에 양성인 자
② 출생 후 감염된 풍진: 풍진에 부합하는 임상적 특징을 나타내면서, 다음 검사 방법 등에 의해 해당 병원체 감염이 확인된 자
- 검체(비/인두 흡인물, 혈액, 소변, 뇌척수액 등)에서 바이러스 분리 또는 특이 유전자 검출
- 회복기 혈청의 특이 IgG 항체 가가 급성기에 비하여 4배 이상 증가
- 특이 IgM 항체 검출
의사 환자
① 선천성 풍진: 임상적 특징 및 역학적 연관성을 감안하여 선천성 풍진임이 의심되나 검사 방법에 의해 해당 병원체 감염이 확인되지 아니한 자
② 출생 후 감염된 풍진: 임상적 특징 및 역학적 연관성을 감안하여 풍진임이 의심되나 검사 방법에 의해 해당 병원체 감염이 확인되지 아니한 자
신고 방법: 별지 제1호 서식(부록 21)을 작성하여 관할 보건소로 팩스 및 웹(http://is.cdc.go.kr) 등의 방법으로 신고
I. 환자 및 접촉자 관리
환자 관리에서는 호흡기 격리가 원칙입니다. 격리 기간은 발진 후 7일까지이며, 특히 감수성이 있는 임부와의 접촉을 금합니다.
접촉자 관리로는 노출 후 예방 접종을 해야 하며, 면역 글로불린에는 방어 효과가 없습니다.
풍진에 노출이 의심되는 임신 초기 임산부는 감염 여부를 파악하기 위하여 혈청학적 검사를 실시하며, 결과에 따라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II. 역학적 특성
1. 세계 현황
백신 도입 전에는 6~9년 주기로 유행하였습니다. 그러나 백신 도입 후에는 백신 접종 지역에서 대규모 유행은 없었으나, 학교나 군대 등에서 산발적인 유행은 지속되었습니다.
백신 접종 전에는 5~9세에 호발하였으나, 백신 도입 후에는 10~14세에 가장 호발하며, 20~24세에서도 호발합니다. 개발도상국에서는 매년 10만 명 이상의 선천성 풍진 증후군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2. 국내 현황
2000년 법정 감염병(제2군 감염병)으로 지정된 이후 2000년 107명, 2001년 128명 보고되었으며, 2001년 MR(Measles[홍역] + Rubella[풍진]) 일제 예방 접종 후 급격히 감소하였습니다.
3. 전파 경로
비말 등을 통한 공기 매개 감염, 직접 접촉, 또는 태아의 경우 태반을 통해 어머니에게서 감염될 수 있습니다.
III. 임상적 소견
잠복기는 12~23일이며, 평균 14일입니다. 소아에게서는 뚜렷한 증상 없이 발진으로 시작할 수 있으며, 청소년이나 성인의 경우에는 미열, 림프절 종창 및 상기도 감염이 발진이 나타나기 전 1~5일간 지속될 수 있습니다.
임신부가 임신 초기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