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2035 연조직염과 종기 개요 안녕하세요, 건강정보파인더입니다. 오늘은 연조직염과 종기 개요에 대해 자세히 배워보도록 하겠습니다. 연조직염과 종기 개요 개요 연조직염(cellulitis)은 피부와 피하 조직에 생긴 급성 세균성 감염증으로, 세균이 침범한 부위가 빨갛게 되거나(홍반), 부종, 누를 때 통증(압통)이 생기는 것이 특징입니다. 대부분 세균 특히 A군 용혈성 사슬알균이나 황색 포도알균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예전에는 봉와직염, 봉소염이라고 많이 불렀으며, 발생하는 즉시 입원치료가 필요한 병입니다. 초기에 발견해 치료하면 국소적인 염증으로 끝나지만, 방치할 경우 근막성 괴사라는 치명적인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예전에는 이 때문에 해당 부위를 절단하거나, 생명이 위독해기도 했는데, 최근에는 강력한 항생제.. 2023. 3. 15. 액취증 치료 예방 안녕하세요, 건강정보파인더입니다. 오늘은 액취증 치료 예방에 대해 자세히 배워보도록 하겠습니다. 액취증 치료 예방 액취증 치료 및 예방 액취증 치료를 고려해야 하는 경우는 아래와 같습니다. 액취증 냄새(암내)로 인해 사회생활에 영향을 받는다. 다른 사람으로 부터 액취증 냄새가 난다는 소리를 들은 적이 있다. 티슈를 양쪽 겨드랑이에 끼운 후 5분후에 냄새를 맡아보아 역겨운 냄새가 난다. 흰옷을 입으면 저녁 무렵 겨드랑이 부위가 노랗게 변해있다. 겨드랑이가 축축하게 젖어있거나 귀지가 축축하게 젖어있다. 가족 중에 액취증 증세를 보이는 사람이 있다. 증상은 심하지 않지만 치료를 원한다. 액취증 예방 및 관리 샤워를 자주하여 청결을 유지합니다. 통풍이 잘되는 옷을 입고 겨드랑이에 파우더를 뿌려주는 등 겨드랑이 .. 2023. 3. 14. 유선염 환자들이 자주하는질문 안녕하세요, 건강정보파인더입니다. 오늘은 유선염 환자들이 자주하는질문에 대해 자세히 배워보도록 하겠습니다. 유선염 환자들이 자주하는질문 1. 유선염이 있으면 수유를 하면 안되나요? 유방염이나 유방 농양을 치료할 때 수유를 중단할 필요는 없습니다. 모유에 포함될 수 있는 소량의 균주나 항생제는 유아에게 거의 해가 되지 않습니다. 오히려 수유 자체가 유즙과 농액의 배출을 촉진시켜 치료에 도움이 되기도 합니다. 그러나 전신 마취를 필요로 할 정도로 심한 농양의 배농술 후에는 수유를 중단할 수 있습니다. 2. 유방염이 있으면 젖을 말려야 하나요? 잘못된 편견입니다. 젖을 말리는 브로모크립틴 등의 약을 쓰면 젖이 농축되어 잘 배액이 되지 않아서 오히려 유선염이 악화될 수 있습니다. 수유를 하지 못할 경우에도 급성.. 2023. 3. 14. 얼굴신경마비 환자들이 자주하는질문 안녕하세요, 건강정보파인더입니다. 오늘은 얼굴신경마비 환자들이 자주하는질문에 대해 자세히 배워보도록 하겠습니다. 얼굴신경마비 환자들이 자주하는질문 1. 얼굴신경마비와 구안와사는 서로 다른 병인가요? 구안와사는 입 구(口), 눈 안(眼), 입 비뚤어질 와(蝸), 기울 사(斜)로 이루어진 한자로서 눈과 입이 비뚤어져 있다는 뜻의 병명입니다. 신경과 의사들은 얼굴신경마비, 벨마비 등의 병명을 주로 사용하며, 한의사들은 구안와사, 와사풍 등의 병명을 주로 사용합니다. 2. 얼굴신경마비도 뇌졸중의 일종인가요? 얼굴신경마비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벨마비는 말초성 급성 편측 얼굴신경마비로, 뇌 자체의 병변인 뇌졸중 또는 중풍과는 전혀 다른 질환입니다. 그러나 얼굴마비가 발생하였을 경우, 반드시 뇌졸중의 가능성을 확인해야.. 2023. 3. 14. 이전 1 ··· 490 491 492 493 494 495 496 ··· 509 다음